스테이킹이란?
스테이킹(Staking)은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자산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맡기는 방식으로 현금을 은행에 맡기는 예금과 구조가 비슷합니다. 또 보유한 디지털 자산을 블록체인 검증에 활요하도록 맡기는 것을 뜻합니다.
이와 관련 모든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이 검증되어야 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암호화 세계에서 디지털 자산은 컴퓨터가 새로운 블록 생성을 지원하는 복잡한 방정식을 푸는 채굴이라는 프로세스를 통해 생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테이킹은 암호화폐 지갑에 자산을 잠그고 거래 검증 과정에 참여하고 결국 새로 발행된 코인을 보상으로 받는 것입니다.
스테이킹이 가능한 메커니즘
모든 디지털자산이 스테이킹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스테이킹은 지분증명(PoS) 혹은 위임지분증명(DPoS) 알고리즘을 채택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가능합니다.
비트코인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안다면, 아마도 작업증명(PoW)에 익숙하실 것입니다. 비트코인의 작업증명 시스템은 채굴자가 수학퍼즐을 풀어 증면된 거래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것입니다. 암호화 문제는 풀기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채굴자는 이에 맞는 컴퓨팅을 할 수 있는 특수 하드웨어를 사용해야합니다. 이 프로세스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기 때문에 악의적인 공격 시도를 막을 수 있습니다.
지분증명(PoS)
따라서 지분증명(PoS) 이 나옵니다.
지분 증명은 참여자가 코인을 동결하고(자신의 “지분”), 프로토콜이 특정 간격에 따라 다음 블록을 검증할 이를 임의로 선정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선택될 확률은 코인의 비율과 관련되는데, 더 많은 코인을 동결할 수록 확률은 더 높아집니다.참여자가 블록을 생성할지는 작업 증명에서처럼 해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에 기반하지 않습니다. 그 대신 얼마나 많은 스테이킹 코인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대표적으로 코스모스(ATOM), 테조스(XTZ), 루나(LUNA) 등이 있습니다. 작업증명(PoW)방식을 따르는 기존 이더리움은 스테이킹이 없지만 지분증명(PoS) 방식으로 전환할 이더리움 2.0에서는 스테이킹이 가능합니다.
위임지분증명(DPoS)
위임지분증명(DPoS)이라는 대안적인 메커니즘은 비트셰어(BitShares) 블록체인의 일부로 처음 사용되었지만, 이내 다른 네트워크들도 해당 모델을 채택했습니다. 여기에는 라리머가 개발한 스팀(Steem)과 이오스(EOS)도 포함됩니다.
위임지분증명 모드는 더 적은 수의 검증 노드를 통해 합의를 달성할 수 있게 합니다. 즉, 위임지분증명은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네트워크는 작고, 선택된 검증 노드 그룹에 의존하기 때문에 탈중앙화 정도가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검증 노드들은 블록체인 운영과 전반적인 거버넌스를 담당합니다. 이들은 합의를 달성하는 과정에 참여하고, 핵심 거버넌스 요소들을 정의합니다.
스테이킹 보상에 요소
각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따르면 스테이킹 보상을 계산하는 방식이 달릅니다.
일부 스테이킹 보상은 많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블록 단위로 조정됩니다.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검증인이 스테이킹한 코인의 양
검증인이 스테이킹을 활성화한 기간
네트워크 전체에 스테이크 된 코인의 양
인플레이션 비율
기타 요소들
일부 네트워크에서는 스테이킹 보상이 비율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보상은 검증인에게 분배되는 일종의 인플레이션 보상입니다. 인플레이션은 사용자가 코인을 보유하기 보다는 이를 사용하도록 장려하며, 이를 통해 암호화폐 사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에서 검증자는 자신이 받게 될 스테이킹 보상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은 어떻게 하는 겁니까?
이어서 스테이킹을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블록체인이 채택하고 있는 합의 알고리듬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현존하는 대부분의 PoS 기반 블록체인들의 경우 일반적인 유저들은 검증인 노드(검증인)를 통해서 스테이킹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에서 노드란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각각의 서버를 의미하며, 이 중 검증인 노드는 일반 유저들이 위임한 지분을 가지고 블록을 생성하여 네트워크 보안을 직접적으로 유지하고 블록체인을 운영하는 역할을 합니다.
노드는 누구나 운영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토큰의 보유 지분을 기반으로 특정 순위 내에 든 노드들만이 검증인으로 선출돼 블록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테이킹 보상은 블록 생성에 대한 보상에서 기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위 조건들이 만족된 검증인 노드에 토큰을 스테이킹하여야 합니다.
그렇다면 나의 보상을 제대로 보장하고 내가 맡긴 자금이 삭감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운, 안정적으로 블록을 생성하는 좋은 검증인 노드는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노드 차기
가장 대표적으로 2가지 지표를 고려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1.노드 업타임(Uptime)
가장 첫 번째로 확인해 볼 것이 바로 노드 업타임입니다.
노드 업타임은 검증인 노드가 만들 수 있었던 블록 중 실제로 생성에 성공한 블록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가령, 노드 업타임이 80%인 검증인 노드는 총 10개의 블록을 생성할 수 있던 동안, 실제로는 8개의 블록을 생성해냈다는 뜻입니다.
당연히 노드 업타임 값이 높은 검증인 노드일수록 안정적으로 블록을 생성할 것이고, 이에 따라 스테이킹 보상도 안정적으로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2.기여(Contribution)와 커뮤니티 활동
또한, 기여 및 커뮤니티 활동을 살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는 위의 지표와는 다르게 객관적인 수치로 확인하기는 다소 어려울 수 있지만 깃허브(Github), 트위터(Twitter), 디스코드(Discord)와 같은 다양한 커뮤니티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채널들을 통해, 해당 검증인이 각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벌어지는 논의에 얼마나 활발하게 참여하고 기여하였는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 풀
스테이킹 풀은 코인 보유자가 자원을 한 곳에 모을 때 형성됩니다. 한 단위로 스테이킹을 하기에 검증자로 선정되어 보상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상을 받으면 각 참가자의 기여도에 따라 분배됩니다.
풀을 구성하고 유지하려면 상당한 자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참가자는 스테이킹 보상 지분의 일부를 풀 제공업체에게 수수료로 지불해야합니다. 이런 추가비용에도 불구하고 풀을 조인하는 이유는 이에 따르는 유연성 때문입니다. 스테이킹을 하려면 프로젝트의 꽤 높은 수치의 최소 예치 기간과 잔고를 준수 해야하는데 개인적으로는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스테이킹 풀은 일반적으로 인출 시간 제한이 없으며 훨씬 적은 금액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의 장단점
스테이킹 장점
스테이킹의 장점은 디지털자산 장기보유 시 추가적으로 보상을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디지털자산마다 보상률은 다릅니다. 하지만 스테이킹된 전체 디지털자산이 늘어날 경우 시장에 유통되는 디지털자산의 수량이 줄어 물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디지털자산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도 있습니다.
다른 의미에서 스테이킹을 한다는 건 투자자가 해당 코인을 장기 보유하겠다는 의지가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블록체인의 안전성과 보안성을 상승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스테이킹 단점
스테이킹의 단점은 정해진 기간 동안 언스테이킹(출금)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내가 원하는 시점에 매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스테이킹 중 디지털자산 가치가 급락을 하게 되는 경우 큰 손해를 볼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합니다.이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한달, 일주일 단위의 단기 스테이킹 상품도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스테이킹 서비스 이용에 앞서 투자자들의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것을 기억하시길...
'코인 크립토 web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발란체(AVAX)란 무엇인가? (0) | 2023.02.05 |
---|---|
요즘 대세 솔라나(SOL)란? (0) | 2023.02.05 |
하이스트리트(HIGH) (0) | 2023.02.05 |
파일코인(FIL)이란? (0) | 2023.02.05 |
마스크 네트워크(MASK) (0) | 2023.02.05 |
디센트럴 랜드(MANA)는 무엇인가? (0) | 2023.02.05 |
비트코인 투자? 복습 (초보가 되자) (0) | 2023.02.05 |
파이코인 지갑(Pi Wallet) (0) | 2023.02.05 |